안녕하세요, 피커입니다.
스톡 사이트에 대해 알게 되면서 막 도전해 보려는 분들이라면 이런 질문이 떠오를 거예요.
"독점과 비독점은 대체 뭐가 다른 거지?", "비독점이면 다른 사이트에도 올려도 되는 걸까?"
오늘은 스톡 이미지 등록 전에 참고하기 좋은
"독점(Exclusive)’과 ‘비독점(Non-Exclusive)"의 차이점을 설명해드리겠습니다.
📌 비독점(Non-Exclusive)?
비독점은 말 그대로 작가가 동일한 이미지를 여러 사이트, 동시에 등록할 수 있는 방식입니다.
한 이미지를 여러 플랫폼에 올려놓고 판매가 가능하죠.
✔️장점
▪️여러 사이트에서 동시에 수익 발생 가능
한 이미지가 여러 곳에서 팔리면 수익이 분산되어 늘어날 수 있습니다.
▪️ 노출 기회가 많아짐
▪️ 작가의 작업물 활용 자유도 높음
특정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으므로, 포트폴리오 사이트나 개인 SNS에 올리는 것도 가능합니다.
✔️단점
▪️ 단가나 수수료가 낮음
독점 콘텐츠에 비해 단가가 낮거나 수익 분배율이 낮은 경우가 있습니다.
▪️ 사이트별 규정 관리가 번거로울 수 있음
각각의 플랫폼마다 요구하는 태그, 키워드, 규칙이 다르기 때문에 작업량이 늘어납니다.
⭐ 비독점 판매 가능 스톡 이미지 사이트
[해외] Adobe Stock(어도비스톡), Shutterstock(셔터스톡), iStock, 123RF, Freepik(프리픽), Canva(캔바)
[국내] 아이클릭아트, 크라우드픽, 클립아트코리아, 유토이미지, 미리캔버스, 툴디
📌 독점(Exclusive)?
독점은 특정 플랫폼에만 해당 이미지를 등록하고, 다른 사이트에는 올릴 수 없는 방식입니다.
일부 플랫폼에서는 '작가 단위' 또는 '콘텐츠 단위'로 독점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요.
✔️장점
▪️더 높은 수익 가능성
비독점보다 높은 단가로 팔리거나, 수수료 비율이 우대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
▪️작가 레벨 상승 속도가 빠를 수 있음
판매 실적에 따라 보너스, 추가 수익 기회가 더 많아질 수 있습니다.
▪️플랫폼의 추천/우선 노출 혜택
일부 플랫폼에는 독점 콘텐츠를 메인에 더 자주 노출하거나, 추천작으로 선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✔️단점
▪️해당 이미지의 활용 제한
독점으로 등록한 콘텐츠는 다른 스톡 사이트는 물론, SNS나 포트폴리오로 사용하려면 별도 조건이 붙을 수 있습니다.
▪️다른 수익 루트 차단
한 곳에서만 수익이 발생하기 때문에, 플랫폼이 비활성화되거나 판매가 저조하면 리스크가 커집니다.
⭐ 독점 판매 가능 스톡 이미지 사이트
[해외] istock, Getty Images(초청 기반), 123R(로고 한정)
[국내] 아이클릭아트, 클립아트코리아, 게티이미지코리아
각 플랫폼의 정책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, 등록 전 공식 웹사이트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길 바랍니다.
저는 다양한 사이트에 비독점으로 스톡 이미지를 판매 중인데요. 기회가 되면 독점 판매도 해보고 싶네요.
제 글이 스톡 작가의 첫걸음에 도움이 됐길 바랍니다.
감사합니다.